본문 바로가기
  • 아하하

Linux13

리눅스 서버의 메모리 간단 관리 방법 출처 : 리눅스 서버의 메모리 간단 관리 방법(사용량 확인/캐시삭제/정기관리) 리눅스 OS(Redhat, Debian, Ubuntu 등 리눅스 기반 운영체제)가 설치된 서버에서 현재 사용 중인 메모리 사용량을 확인하고 캐시 메모리 사용량이 많은 경우 이를 비워서 시스템 효율을 높이는 방법입니다. 명령어 기반으로 터미널에서 간단히 사용할 수 있습니다. 메모리 사용량 확인 명령어 $ free -m pagecache 해제 명령어 $ echo 1 > /proc/sys/vm/drop_caches dentry 및 inode 캐시메모리 해제 명령어 $ echo 2 > /proc/sys/vm/drop_caches pagecache, dentry, inode 캐시메모리 모두 해제 시 $ echo 3 > /proc/sys.. 2018. 10. 11.
OOM Killer , 메모리 overcommit 출처 : http://www.mimul.com/pebble/default/2013/05/10/1368171783727.html Linux의 메모리 관리에서는 메모리 오버커밋이라는 메커니즘이 적용되어 있어 실제 메모리 이상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는 어떤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는가 하면 Linux 가상 메모리 시스템은 프로세스가 메모리를 확보할 때는 많게 보이게 하고 실제로 프로세스가 메모리에 접근을 하게되면 실제 메모리를 할당하는데 이때 실제 메모리가 부족하게 되면 OS내부적으로 프로세스를 마음대로 kill을 해버린다. 이른바 OOM-killer(out of memory killer)라고도 한다. OOM Killer(Out of Memory Killer)는 시스템이 실제 메모리와 가상 메모리 공간(.. 2018. 10. 10.
리눅스 Log File의 종류 출처:리눅스 로그 파일의 종류 및 로그 파일 분석 1. Log File의 종류 - 기본적인 로그들은 syslogd에 의해서 제어가 되며, syslogd의 설정파일인 /etc/syslog.conf 파일을 수정함으로써 이 파일들의 저장위치와 저장파일명을 변경 가능하다. - 보안을 위하여 숨김속성(.으로 시작하는 디렉토리)의 디렉토리를 다른곳에 만들어 숨김속성파일(.으로 시작하는 파일)을 만들어서 찾기 힘든 곳에 보관 할 수 있다. 로그이름로그 파일명 관련 데몬 설명 커널 로그 /dev/console kernel 콘솔에 뿌려지는 로그 시스템 로그 /var/log/messages syslogd 리눅스 커널로그 및 주된 로그 보안 로그 /var/log/secure xinetd 보안 인증 관련 로그 메일 로그/va.. 2018. 10. 10.
명령어 1. 열린 포트 확인 netstat -tnlp | grep -v 127.0.0.1 | sed 's/:::/0 /g' | sed 's/[:\/]/ /g' | awk '{print $5"\t"$10}' | sort -ug netstat -tnlp nmap localhost 2. 리눅스 버전 확인 grep . /etc/*-release 2018. 10. 8.
반응형